- 💬토론방 ()
신약 4복음서의 기본베이스가 도마복음인 이유
도마복음이 기존 교회와 목회자들에게 받아들여지지 않는 이유는, 이 복음서가 기존 기독교의 핵심 교리와 매우 다르기 때문입니다.
도마복음은 예수를 전통적인 구원자나 신적 존재로 보기보다는 깨달음을 주는 스승, 인간 내면의 진리를 일깨우는 안내자로 묘사합니다. 이 점에서 도마복음의 가르침은 불교, 신비주의 등과도 유사한 면이 있습니다. 실제로 도마복음은 “믿음”보다는 “깨달음”과 “자기 인식”을 강조하며, 예수의 십자가 죽음이나 부활의 중요성도 거의 다루지 않습니다138.
불교 신자들이 부처를 절대적인 신으로 숭배하지 않고, 각자가 깨달음을 통해 부처가 될 수 있다고 여기듯, 도마복음 역시 예수의 가르침을 통해 각 개인이 자기 내면의 신성을 발견하고 깨달음에 이르도록 독려합니다. 이런 맥락에서 도마복음은 기존 교회가 강조하는 신앙의 핵심(예수의 희생, 믿음, 교회의 권위 등)과 충돌합니다. 특히 도마복음이 강조하는 개인의 깨달음 중심 신앙은, 교회 조직과 목회자의 중재 역할, 그리고 교회에 소속되어야만 구원받는다는 기존 구조를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고대 종교의 발전 과정을 보면 일신교와 다신교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해왔고, 기독교 역시 다양한 문화와 사상, 종교 전통과의 접촉 속에서 변화해왔습니다. 도마복음은 플라톤적 이원론, 영지주의, 동양적 신비주의 등 다양한 사상과의 접점을 보여주며, 기독교의 교리적 틀을 넘어 더 넓은 종교적·철학적 대화의 장을 열어주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일부에서는 “목사들이 도마복음을 싫어하는 이유가 교회 구조와 재정적 이익, 권위 유지에 불리하기 때문”이라고 해석합니다. 만약 신자들이 도마복음식 깨달음 중심의 신앙에 공감하게 되면, 교회에 대한 의존이나 헌금, 교회 중심의 신앙 생활이 약해질 수 있고, 교회 운영이나 재정 기반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된 주장입니다
정리하면, 도마복음이 기존 교회의 교리와 구조, 목회자의 권위와 경제적 기반에 위협이 된다고 여겨져서 거부당하는 것이라는 해석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공식적으로는 신학적 이유(정통 교리와의 불일치, 영지주의적 요소 등)가 주된 배제 사유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 https://theosnlogos.tistory.com/975
- https://www.newsm.com/news/articleView.html?idxno=19320
- http://www.ecumenian.com/news/articleView.html?idxno=24146
- https://chowon.in/ask/results/ehk2kcTW
- http://www.newspower.co.kr/50847
- http://mediabuddha.net/news/view.php?number=8370
- https://vop.co.kr/A00001636008.html
너무싫다 님의 최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