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마복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1. 개요
-
정의: 외경 복음서로, 114개의 어록(quotes/logia) 배열
-
언어: 콥트어와 그리스어 본문 존재
-
발견: 1945년 나그함마디(Nag Hammadi)에서 콥트어 전체본, 1898년 옥시링쿠스 파피루스 일부본
-
연대: 통설상 2세기 중반에 최종 편집. 그러나 일부 어록은 더 이른 기원 가능성 있음
2. 발견 경위
-
나그함마디: 1945년 이집트 농부 무함마드 알리 알삼만이 콥트어 사본 발견 → 1956년 복제본 출판
-
옥시링쿠스 파피루스: 1898년 그리스어 일부 파편 발견, 나그함마디 판과 내용 일치
3. 저술 연대 & 역사적 예수 연구 관점
학자 | 주장 요약 |
---|---|
J. D. Crossan, S. J. Patterson | 일부 말씀은 1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주장 (친저설) |
J. P. Meier, N. T. Wright, D. C. Allison | 영지주의 후대 작품이라 보고 역사적 예수 연구에 직접적 기여 제한 |
J.‑D. Kaestli | 초기 어록+후대 편집층 존재. 영지주의 일반화 경계 |
P. Schröter, A. D. DeConick | 2세기 문헌. 역사적 예수 전승보다는 어록 요리집 |
T. Zöckler 외 유럽 학자 | 문학 종합층 분석, 일부 말씀은 초기 전승 가능성 인정 |
Richard Valantasis, Robert Van Voorst | 기원 범위 매우 넓음 (40–250년 사이) |
Nicholas Perrin, Craig A. Evans | 시리아어 원본설, 2세기 말 전체 단일체 저술 가능성 |
결론:
-
핵심 어록 일부는 1세기 전승 기반일 수 있으나, 현존 텍스트는 2세기 중반 이후 여러 층이 혼합되어 형성됨.
-
공관복음서 의존도 높으며, 영지주의적 특징이 일부 내재.
-
역사적 예수 연구에 제한적 활용 가능하나, 전체적으로 보는 학계 일반적 입장은 2세기 중반 완성·편집 설이 지배적.
4. 한국어 번역
-
송혜경 박사 역주 『신약 외경 1』 (2021) 등에서 콥트어 비평본을 번역·주석
-
원문 대비 중역 형태이며, 판본 차이와 영지주의 요소 감안을 필요
5. 공관복음과의 비교
-
토마스의 많은 어록(예: 토마스 3, 4, 5 등)이 마르코·마태·루카 복음서와 유사하거나 대응됨
-
이로 인해 ‘Q 문서’ 가설 지원을 일부 확인 가능
6. 의의와 한계
-
의의:
-
일부 초기 ‘지혜 말씀’이 역사적 예수 전승과 연결될 가능성
-
초기 기독교 내 영지주의, 묵시주의, 금욕주의 흐름 연구에 중요
-
-
한계:
-
전체 문헌이 영지주의적 및 철학적 색채 짙음
-
공관복음서 의존성, 편집층 복잡성으로 역사적 신뢰성 낮음
-
1세기 예수 전승 직접 사료로 보기에는 어려움
-
🔍 최종 정리
토마스 복음서는 2세기 중반에 편집된 외경 복음서로, 114개의 어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일부 어록은 1세기 전승일 수 있다는 학설도 존재하지만, 문헌 자체는 공관복음서에 의존하며 영지주의적 색채가 포함된 후대 문헌으로 보는 것이 학계의 지배적 견해입니다.
역사의 예수 전승을 연구하는 데는 제한적이지만, 초기 기독교 내부 다양한 사상적 흐름(영지주의·금욕주의 등)을 이해하는 데 매우 의미 있는 문헌입니다.
필요하신 부분(예: 각 어록의 비교 분석, 한국어 번역본 내용 정리, 역사적 의의 등)을 더 세분화해 드릴 수도 있어요. 말씀만 주세요!
카카필즈 님의 최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