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통합검색
  • 도마복음 연구소
    • 도마복음
      • 도마복음이란
      • 도마복음이 왜 정통인가
      • 도마복음 듣기
      • 도마복음서 원문
      • 도마복음서 역본대조
    • 💬토론방
    • 연구회
    • 블로그
    • 💡해설·강의
    • 운영지원실
      • 📢 공지사항
      • 📦 1:1문의
  • 포인트
    1 빤스목사
    1,035
    2 프람
    1,005
    3 깨달은자
    970
    4 eheth
    945
    5 Gbjjd
    940
    6 ksnlgn
    915
    7 카카필즈
    910
    8 dd
    880
    9 너무싫다
    870
    10 FaithHarmony
    855
  • 💡해설·강의
    • 💡해설·강의
    • 구약과 신약을 이어준 매일 세례(침례)를 주었던 공동체 에세네파와 사두개파, 바리새파의 기원에 대해서 | 기독교의 기원2

      • 익명d5cdb
      • 2025.07.17 - 10:49 0

     

     

    1세기 유대교의 주요 분파였던 에세네파, 사두개파, 바리새파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에세네파 (Essenes):

      • 고대 기록: 1세기의 학자인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와 필로가 이들을 상세히 기록했습니다. 요세푸스의 『유대 전쟁사』와 『유대 고대사』, 필로의 『선한 사람은 모두 자유하다』와 『유대인을 위한 변증』에 언급되어 있습니다.
      • 생활 방식:
        • 정결 예식: 50일간 쉬지 않고 일한 후 허리까지 올라오는 아마포 옷을 입고 찬물에 들어가 목욕하는 종결 예식을 행했습니다.
        • 공동체 생활: 같은 신앙을 가진 사람들만 들어올 수 있는 특별한 건물에 모여 식사를 했으며, 이는 마치 거룩한 영역에 들어가는 것과 같았다고 묘사됩니다. 필로는 이들이 재산과 소유물 없이 살았으며, 권력보다는 만족하는 것을 실제적인 풍요로움으로 여겼다고 기록했습니다. 이들은 연합의 형태와 공동 식사의 관습을 채택하여 형제처럼 살았고, 모든 행동을 공동의 선을 위해 수행했습니다.
        • 정결관: 성전에 제물을 보내기는 했지만, 그들의 정결 예식과 다르기 때문에 성전에서 희생 제사를 직접 드리지는 않았고, 스스로 희생 제사를 드렸습니다.
      • 명칭: 팔레스타인 시리아 지역에 4,000명 이상이 거주했으며, '에세네(Essenes)'라는 이름은 헬라어가 아니며 '거룩'이라는 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 신앙: 하나님을 섬기는 데 온전히 바쳐진 사람들이며, 동물 희생 제사를 드리지 않고 자신들의 마음을 거룩하게 하는 것을 더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쿰란 문서(사해 사본)에 따르면, 이들은 1세기 유대인들이 성전에서 드렸던 제사와 달리, 기도와 찬양을 예배의 형태로 드렸는데, 이는 오늘날 우리가 드리는 예배의 기원과 같은 기록을 담고 있습니다. 죄를 속죄하기 위해 번제의 살코기나 희생제의 기름보다 입술로 드린 헌제, 기도와 찬양이 정의의 향내와 같으며 온전한 삶이 흡족하고 자유로운 선물과 같다고 여겼습니다.
      • 중요성: 요세푸스와 필로는 바리새파와 사두개파보다 에세네파를 훨씬 많은 분량으로 소개했으며, 쿰란 문서에서도 에세네파의 기록과 문헌들이 다수 발견되었습니다. 이들은 기독교의 기원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분파로 여겨집니다.
    • 사두개파 (Sadducees):

      • 이름 유래: 이스라엘에서 가장 유서 깊은 대제사장 가문인 사독에서 유래했습니다.
      • 신앙:
        • 토라 강조: 모세오경(토라)만을 유일한 성스러운 책으로 믿었습니다.
        • 부활 및 천사 부정: 모세오경에서 언급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천사론이나 부활 사상을 믿지 않았습니다.
      • 정치/경제적 권력: 대제사장 가문으로서 성전을 장악하고 있었으며, 페르시아의 이스라엘 통치 정책(이스라엘에 새로운 왕이 세워지는 것을 부정적으로 봄)과 이해관계가 잘 맞아떨어졌습니다. 이들은 정치, 경제적 권력을 모두 쥐고 있으면서 팔레스타인과 친화적인 입장이었습니다.
    • 바리새파 (Pharisees):

      • 기원: 주전 175년 시리아의 안티오코스 4세가 헬라화 정책을 추진하며 예루살렘 성전을 약탈하고 유대 전통(할례, 안식일 등)을 금지하며 토라를 불태우고 성전을 이방 신에게 봉헌하자, 이에 저항하기 위해 결성된 경건한 자들의 모임인 '하시딤'에서 떨어져 나온 분파입니다.
      • 이름 유래: 그리스어로는 '파리 사이오스', 히브리어로는 '페루시미'라고 불리며, '분리시키다'라는 의미의 동사 '파라슈'에서 유래했습니다. 이들은 하시딤에서 떨어져 나와 정치적 성향을 띠게 되면서 '분리주의자'라는 경멸적인 별칭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 특징 및 사상:
        • 토라 해석: 사두개파와 마찬가지로 토라를 강조했지만, 토라의 정결법을 제사장뿐만 아니라 일반 백성 모두가 지켜야 할 보편적인 규범으로 해석했습니다. 이는 백성 모두가 스스로 성화되는 것이 바리새파의 핵심 사상이었습니다.
        • 부활 신앙: 사두개파가 부활을 믿지 않았던 것과 달리, 부활 신앙을 강조했습니다. 유대 역사가 요세푸스는 영혼 불멸 사상과 부활 신앙 문제로 사두개파와 바리새파를 구분할 정도로 이는 중요한 구분점이었습니다. 사도행전 23장에서도 바울이 유대 회의에서 이 점을 활용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대중 운동: 사두개파 대제사장들이 권력에 빠져 타락한 것을 강하게 비난하며 대중 운동으로 성장했습니다. 안티오코스 4세의 헬라화 정책과 이에 동조한 제사장들에 대항한 하시딤 운동의 연장선상에서 토라를 앞세워 반사두개파 전선을 형성할 수 있었습니다.

    이 세 분파는 1세기 유대교의 중요한 흐름을 형성했으며, 다음 영상에서는 하시딤 운동, 바리새파, 에세네파가 어떻게 그 정신을 이어가거나 단절시켰는지에 대해 다룰 예정입니다.

    Attached file
    maxresdefault.jpg 214.7KB 9
    이 게시물을..
    N
    • [홍익학당] 윤홍식의 "도마복음" 강의 1강 - 도마복음, 영생의 방법을 전하다!익명d8514
    댓글 쓰기 에디터 사용하기 닫기
    • view_headline 목록
    • 14px
    • [홍익학당] 윤홍식의 "도마복음" 강의 1강 - 도마복음, 영생의 방법을 전하다!
    • 목록
      view_headline
  • NOTICE

    • 이곳은 도마복음 연구소입니다.
N
  • 도마복음 연구소
  • 사이비와 이단이 자신을 정통이라 외치고, 진짜 정통을 이단으로 찍고 마녀사냥을 벌인다.
    거기엔 가스라이팅과 세뇌, 그루밍과 권력이 썩은 피처럼 흐른다. 무력한 자들이 완장을 차고 썩은 질서를 신의 뜻이라 우긴다.
    믿음은 없다. 그들은 생각하지 않는다. 말을 외우고, 눈을 감고, 살아간다. 도대체 언제까지 소시오패스들의 먹잇감으로 살 셈인가!
    왜 그들은 교주의 혀끝에 정신을 맡겼는가? 왜 스스로를 부숴가며 복종을 택했는가? 아, 그대들은 이것을 아름다운 순종이라 부른다지.
    복종(순종)은 미덕이 아니다. 그대의 영혼을 씹어삼키는 자들에게 등을 돌려라.
    자유는 순례자가 아닌, 도망자에게 온다. 그대여, 당장 그곳에서 도망쳐라. 그리고 자기혐오에서 벗어나라
  • 도마복음
    • 도마복음이란
    • 도마복음이 왜 정통인가
    • 도마복음 듣기
    • 도마복음서 원문
    • 도마복음서 역본대조
  • 💬토론방
  • 연구회
  • 블로그
  • 💡해설·강의
  • 운영지원실
    • 📢 공지사항
    • 📦 1:1문의
 도마복음 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by Orange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