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ARCH

    통합검색
  • 도마복음 연구소
    • 도마복음
      • 도마복음이란
      • 도마복음이 왜 정통인가
      • 도마복음 듣기
      • 도마복음서 원문
      • 도마복음서 역본대조
    • 💬토론방
    • 연구회
    • 블로그
    • 💡해설·강의
    • 운영지원실
      • 📢 공지사항
      • 📦 1:1문의
  • 추천
    1 카카필즈
    0
    2 Gbjjd
    0
    3 사회복지사
    0
    4 너무싫다
    0
    5 zlel
    0
    6 dd
    4
    7 프람
    0
    8 깨달은자
    0
    9 eheth
    1
    10 FaithHarmony
    0
  • 💡해설·강의
    • 💡해설·강의 ()
    • 기독교의 좌파와 우파, 진보와 보수 구분을 속 시원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 익명e1de8
      • 2025.07.10 - 15:47 2025.07.10 - 15:47 0 1

     

     

    제공된 YouTube 영상 "기독교의 좌파와 우파, 진보와 보수 구분을 속 시원하게 정리해 드립니다."는 우리 사회와 신앙 내에서 좌파와 우파, 진보와 보수를 나누는 기준이 무엇인지 명확히 하고자 합니다. 영상은 많은 사람들이 이 기준을 모른 채 편 가르기를 하고 있다는 문제를 제기하며, 다섯 가지 주요 기준으로 좌파와 우파의 관점을 설명하고 이를 신앙과 교회에 적용하여 설명합니다.

     

    다음은 영상에서 제시하는 다섯 가지 기준입니다:

    • 평등에 대한 태도:

      • 좌파: 평등의 지속적인 확대를 주장하며, 대부분의 불평등은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이므로 사회적으로 교정될 수 있다고 봅니다. 과거 남성과 다른 여성의 선천적 특혜를 근거로 여성 참정권 부여를 반대한 우파에 대해, 좌파는 여성이 정치적 능력이 선천적 자질이 아니라 남성 중심적 사회의 제도적 환경 속에서 강요되거나 일방적으로 선언된 것이라고 비판합니다.
      • 우파: 불평등이 불가피하며 상당수는 선천적이어서 교정 불가능하다고 주장합니다. 나아가 불평등의 순기능이 많다고 봅니다.
      • 신앙 적용: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이 가져온 만인 제사장설은 평등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쪽에 가까운지, 여성의 선천적 특혜를 근거로 여성 목회자 안수 금지를 주장하는 것이 불평등의 불가피성이나 순기능을 옹호하는 것인지 묻습니다. 한국의 대표적인 장로교회 중 한 곳은 여성 목회자 안수를 반대하고 다른 한 곳은 찬성하는데, 이는 페미니즘이 아닌 평등의 기준으로 판단해볼 수 있습니다.
    • 민주주의에 대한 태도 (직접 민주주의 vs. 간접 민주주의):

      • 좌파: 사회경제적 평등과 한 짝을 이루는 정치적 평등의 차원에서 한층 더 진전된 직접 민주주의를 주장하며, 가능한 국민의 직접 참여를 통해 권력이 행사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 우파: 직접 민주주의의 폐해를 근거로 간접 민주주의를 옹호합니다. 총체적으로 능동적인 엘리트와 대표자, 그리고 수동적인 일반 대중들 간의 불평등을 무시하는 무차별의 논리라고 비판하며, 권력이 대표에게 전적으로 신탁되거나 제한적으로 위임되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 신앙 적용: 교회 권력이 목사와 장로들에게 신탁되거나 위임되었다고 믿는지(우파적 관점) 아니면 모든 성도들이 직접 참여해서 운영되어야 한다고 믿는지(좌파적 관점)를 묻습니다. 불평등의 순기능을 이유로 엘리트와 대표자로 분류되는 목사와 장로들에게 모든 권력이 집중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모든 성도들에게 권력을 나누어 주어야 하는지를 고민하게 합니다. 종교가 절대 권력이던 중세 교회가 종교개혁으로 무너진 것을 교황에게 쥐어져 있던 하나님을 모든 대중들에게 돌려준 사건으로 평가하는 것을 예시로 듭니다.
    • 자유에 대한 태도: 자유 일반에 대한 태도로는 좌파와 우파를 일관되게 구분하기 어렵다고 언급합니다.

      • 경제 활동의 자유:
        • 우파: 개인의 경제적 자유를 최대한 보장할 때 전체의 이익도 증진된다고 주장합니다.
        • 좌파: 개인의 경제적 자유(재산권 보호 및 그 행사 자유)를 제한할 때만 사회와 공동체의 이익이 증진된다고 주장합니다. 좌파 내부에는 사적 소유 철폐, 국유화 등 급진적 주장을 하는 경향도 있지만, 대부분은 조세, 사회 복지와 같은 재분배 정책을 통해 간접적으로 개입하는 것을 주장하며 사실상 개인의 경제적 자유를 우선시하기도 합니다.
      • 정치, 사회, 문화적 측면의 자유:
        • 좌파: 위계, 전통, 권위에 맞서 개인의 자유, 혹은 자율성을 옹호하며, 그 맥락에서 국가 공동체에 의한 개인의 자유 제약을 비판합니다.
        • 우파: 기존의 위계, 전통, 권위를 옹호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위계화된 사회 질서를 옹호하고 해당 공동체의 전통을 고수하며, 도덕적 권위를 기반으로 문화적 혁신을 경계합니다. 최상의 공동체로서 국가의 가치를 강조하며, 경제 영역과는 반대로 개인의 존재 가치를 공동체의 질서, 전통, 권위 속에서만 인정합니다.
      • 신앙 적용: 교회는 개인의 경제 활동에 대해 어떤 제한도 하지 말아야 하는지(우파적 관점), 모든 재산을 내어놓고 집단 생활을 해야 하는지(급진적 좌파적 관점), 아니면 재분배 정책을 통해 간접적으로 제한하고 헌금도 이 부분에 초점을 맞춰 사용되어야 하는지(온건 좌파적 관점)를 묻습니다. 또한 교회의 위계, 전통, 권위를 위해 새로운 문화적 혁신을 반대해야 하는지(우파적 관점), 아니면 개인의 자유를 존중해 창의적인 의견을 개진하고 끊임없이 새로운 변화를 시도해야 하는지(좌파적 관점)를 질문합니다. 개인이 경제적 자유는 추구하면서 정치·사회·문화적 측면에서는 자유를 반대할 수 있는 등 복합적인 입장이 가능함을 지적합니다.
    • 사회 구성 집단 간의 연대와 통합:

      • 좌파: 사회를 구성하는 집단들, 요소들 간의 연대를 강조하며, 관련 당사자들 간의 수평성과 다양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개념입니다.
      • 우파: 통합을 강조하며, 수직적 위계와 중립성을 강조하는 개념입니다. 사회의 지배적 가치를 구성원들이 긍정하고 순응한 상태를 이상적으로 봅니다 (예: 성공한 자는 존경받고, 실패한 자는 동경받음으로써 사회 갈등 해소). 이는 직접 민주주의와 간접 민주주의적 관점과도 일맥상통합니다.
      • 신앙 적용: 교회에서 청년들을 비롯한 어떤 그룹이 선교 단체 활동에 비판적이고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이 연대라는 개념에 대한 근본적으로 부정적인 철학에서 기인할 수 있다고 봅니다. 이는 대교회 중심적인 사고에서 위계질서를 중요하게 추구하며 '우리 교회의 통합'을 중요시하고 다른 세력과의 연대를 경계하는 입장과 연결될 수 있습니다.
    • 주어진 사회 질서의 변화 가능성과 변화에 대한 가치 평가:

      • 좌파 (진보주의적): 변화가 가능하다고 믿고 그 변화를 긍정적으로 평가합니다.
      • 우파 (보수주의적): 주어진 사회 질서의 자연적, 필연적 성격을 믿고 변화를 부정적으로 평가합니다.
      • 신앙 적용: 교회나 선교 단체, 혹은 어떤 모임에서 변화를 거부하거나 불편해한다면 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혹은 과거로의 회귀만을 주장한다면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묻습니다. 변화와 변혁을 위해 '초대 교회로 돌아가자'거나 '종교 개혁 시대 정신을 이어받자'고 하는 것과, 변화와 변혁을 반대하기 위해 동일한 주장을 하는 것의 차이를 짚어줍니다.

     

    결론적으로 영상은 개인이나 교회, 신앙이 특정 지점에서 좌파적이거나 우파적일 수 있지만, 다른 지점에서는 반대의 성향을 보일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예를 들어, 여성 안수를 허용하는 장로교단이라 해도 다른 면에서는 우파적 성향이 많을 수 있다고 설명하며, 한쪽으로만 재단할 수 없다고 합니다. 궁극적으로 영상은 좌파냐 우파냐, 진보냐 보수냐 하는 논쟁 자체가 교회가 추구해야 할 연대나 통합의 정신과는 거리가 먼 분열의 모습일 수 있으며, 함께하고 싶지 않거나 불편한 상대를 구분 짓고 낙인찍기 위한 **'쓴 뿌리'**일 수 있다는 성찰을 제시합니다. 마지막으로 시청자에게 스스로 어떤 입장인지 질문을 던지며 마무리합니다.

     

     

    Attached file
    maxresdefault.jpg 80.8KB 3
    이 게시물을..
    N
    • 인간 노아를 빼고 노아의 방주를 신학과 교리로만 해석해 벌어진 대혼란 | 혼란과 공포와 슬픔이 가득한 비의 랩소디익명c46d1

    댓글1

    • 0
      익명1c41c
      2025.07.10 - 15:47 #24132
      비회원은 댓글을 읽을 수 없습니다
    댓글 쓰기 에디터 사용하기 닫기
    • view_headline 목록
    • 14px
    • 인간 노아를 빼고 노아의 방주를 신학과 교리로만 해석해 벌어진 대혼란 | 혼란과 공포와 슬픔이 가득한 비의 랩소디
    • 목록
      view_headline
    1
    × CLOSE
    기본 (34) 제목 날짜 수정 조회 댓글 추천 비추
    분류 정렬 검색
    • 정보 요청 및 삭제 절차 안내
      2025.07.02 - 12:45 1102
    34
    구약과 신약을 이어준 매일 세례(침례)를 주었던 공동체 에세네파와 사두개파, 바리새파의 기원에 대해서 | 기독교의 기원2
    익명d5cdb 2025.07.17 - 10:49
    33
    [홍익학당] 윤홍식의 "도마복음" 강의 1강 - 도마복음, 영생의 방법을 전하다!
    익명d8514 2025.07.16 - 09:05
    32
    성경은 사람에 의하여 선택되었다. 시대의 필요에 의해서... (성경 시리즈 5)
    익명37b21 2025.07.14 - 21:32
    31
    영지주의가 예수님의 가르침일 수밖에 없는 이유
    익명46e53 2025.07.14 - 11:49
    30
    숨겨진 성서인 '도마복음'과 '막달라 마리아복음' 에는 어떤 이야가 있을까요?
    익명025e9 2025.07.14 - 09:15
    29
    이제 세상은 교회를 걱정하지 않고 개무시 하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지 살펴봅니다
    익명b4879 2025.07.10 - 15:56
    28
    '진보적 복음주의자'라고 한다고 합니다. 부끄러운 교회를 대하는 우리의 양면성에 대해.
    익명092e2 2025.07.10 - 15:53
    27
    인간 노아를 빼고 노아의 방주를 신학과 교리로만 해석해 벌어진 대혼란 | 혼란과 공포와 슬픔이 가득한 비의 랩소디
    익명c46d1 2025.07.10 - 15:49
    26
    빛의 자녀라 불리던 역사에서 가려진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을 위해 살아간 그리스도인들
    익명6f773 2025.07.10 - 15:48
    • 1 2 3 4
    • / 4 GO
  • NOTICE

    • 이곳은 도마복음 연구소입니다.
N
  • 도마복음 연구소
  • 사이비와 이단이 자신을 정통이라 외치고, 진짜 정통을 이단으로 찍고 마녀사냥을 벌인다.
    거기엔 가스라이팅과 세뇌, 그루밍과 권력이 썩은 피처럼 흐른다. 무력한 자들이 완장을 차고 썩은 질서를 신의 뜻이라 우긴다.
    믿음은 없다. 그들은 생각하지 않는다. 말을 외우고, 눈을 감고, 살아간다. 도대체 언제까지 소시오패스들의 먹잇감으로 살 셈인가!
    왜 그들은 교주의 혀끝에 정신을 맡겼는가? 왜 스스로를 부숴가며 복종을 택했는가? 아, 그대들은 이것을 아름다운 순종이라 부른다지.
    복종(순종)은 미덕이 아니다. 그대의 영혼을 씹어삼키는 자들에게 등을 돌려라.
    자유는 순례자가 아닌, 도망자에게 온다. 그대여, 당장 그곳에서 도망쳐라. 그리고 자기혐오에서 벗어나라
  • 도마복음
    • 도마복음이란
    • 도마복음이 왜 정통인가
    • 도마복음 듣기
    • 도마복음서 원문
    • 도마복음서 역본대조
  • 💬토론방
  • 연구회
  • 블로그
  • 💡해설·강의
  • 운영지원실
    • 📢 공지사항
    • 📦 1:1문의
 도마복음 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by OrangeDay